'친미 방중'으로 알려진 라이칭더 대만 총통 선거 개표 상황 사실상 당선
13일 오후 4시(한국시간 오후 5시)에 종료된 대만 총통 선거의 투표 결과가 나왔다. 후보들 간의 지지율 격차가 크지 않았으나, 이 날 밤에는 당선자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대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누리집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부터 시작된 제16대 대만 총통 및 입원위원(국회의원) 선거 투표는 오후 4시에 마감되었다.
대만 전역의 1만 7795개 투표소에서 투표가 이루어지며, 투표가 종료되자마자 개표가 시작되었다. 대만은 한국과는 달리 투표함을 집중하지 않고 투표소에서 직접 수기로 개표를 실시한다.
또한, 투표율은 즉시 집계되지 않으며, 이번 선거의 유권자는 20세 이상 성인으로 전체 인구의 81.6%에 해당하는 1955만 명이었다.
이번 총통 선거에는 집권 민진당 라이칭더 후보, 제1 야당 국민당 허우유가 후보, 제2 야당 민중당 커 원 저 후보가 참여했다.
TVBS 집계에 따르면, 현재 라이 후보가 40.47% (363만 표), 허우 후보가 33.28% (300만 표), 커 후보가 26.41% (238만 표)의 지지율로 각각 1, 2, 3위를 기록 중이다.
거의 900만 표가 개표된 상황에서 라이 후보가 상당한 차이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3위인 커 후보도 26%의 득표를 기록하며 전개 중이다.
국민당 허우 후보는 친미 정책을 기반으로 중국과의 교류 및 협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허우 후보는 전날 유세에서 "민진당 라이 후보가 당선될 경우 대만해협이 위기에 처할 것"이라며 "여러분의 한 표는 대만해협의 안정과 대만의 안보에 기여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반면에 민중당 커 원 저 후보는 중도 노선을 취하며 중도층과 20·30대의 지지를 받고 있다.
커 후보는 전날 유세에서 "이번 선거는 새로운 정치와 예전 정치의 대결"이라며 "모두가 정권 교체를 바라지만 민진당이 국민당으로 대체된다고 해서 대만 사회가 변할 것인가. 진정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사람은 나 자신"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선거는 미국·우크라이나 대선 등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선거 중 하나로, 2024년에 개최되는 대형 선거 중 첫 번째로 진행되었다.
대만은 미-중 전략적 경쟁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어 선거 결과가 중국-대만 관계뿐만 아니라 국제 정세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과 중국은 이번 선거에서 지지하는 후보에 대해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미국은 공개적으로 어떤 후보를 지지하는지 밝히지 않았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자체의 핵심 외교 전략인 '인도-태평양 전략'을 통해 민진당 후보의 당선을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어떤 후보가 당선되더라도 대만의 외교와 안보는 사실상 미국이 제시한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대만의 통일을 핵심 목표로 삼고 있는 시진핑 주석의 입장에서, 미국의 중국 전략에 영향을 미칠 정권 교체를 원하고 있다.
지난 8년간 집권한 민진당과의 대화를 중단해 온 중국은 양측 간 교류와 협력을 추구하는 국민당 후보의 당선을 명시적으로 지지해 왔다.
이러한 입장은 미국과 중국 간의 양자 간세와 관련된 중요한 정치적 상황으로 간주되며, 선거 결과가 지역 안보와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